본문 바로가기

실전AWS-기본편/Route53

Route53에 신규 도메인 등록하기

0. 먼얘기랴~!

이 글에는 aws에 신규 도메인을 Route 53에 등록하고 레코드 관련 몇가지를 설정하는 것에 대한 내용이 담겨있습니다.

 

1. Route53이 머래유?

 

Route 53아이콘

aws 기본 가이드 : https://docs.aws.amazon.com/ko_kr/Route53/latest/DeveloperGuide/Welcome.html

 

Amazon Route 53은 무엇인가요? - Amazon Route 53

이 페이지에 작업이 필요하다는 점을 알려 주셔서 감사합니다. 실망시켜 드려 죄송합니다. 잠깐 시간을 내어 설명서를 향상시킬 수 있는 방법에 대해 말씀해 주십시오.

docs.aws.amazon.com

Amazon Route 53는 가용성과 확장성이 뛰어난 DNS(도메인 이름 시스템) 웹 서비스입니다.

끝.

머. 더 멀 얘기햐. 이게 끝이여. DNS랴. ok? DNS가 머냐구? 그거 머 대충 머...

제 머릿속에 있는 거 생각나는대로 지깔여 볼게요.

보통 우리가 웹사이트를 만들고 싶다. 홈페이지를 만들고 싶다. 할때

제일 먼저 필요한 것은 바로 도메인입니다. 브라우져 창에 적는거, 멘날 검색해서 누르니, 적어본적은 별루 없지유? ㅎ

 

 

도메인은 abc.com 처럼 앞에 abc라는 것이 있고, 뒤에 .com이라는 게 있죠.

.com처럼 뒤에 붙는 걸 파일처럼 확장자라고 하는데요. 이는 몇 가지로 정해져 있습니다.

이번에 등록할때 좀 헤아려보니 현재 299개 정도네요. aws route 53에 등록할수 있는 종류가요.

흔히 알고 있는 .com, .net, .io, 머 엄청 많죠.

이건 어떤 의미 같은게 있죠. 카테고리라고 생각해도 될 것 같고요. 나라라고 생각해도 되고요.

확장자인 이걸 보면 대충 이 사이트가 머겠거니 하는 추측은 할수 있습니다.

회사사이트는 꼭 com이냐 그런건 아니고 회사이겠거니 하면 될거 같습니다. go가 가 붙어있으면 정부관련이겠죠. go.kr은 우리나라. go.uk는 영국 이런식. 이거까지는 낭중에 각자 더 파보세요.

 

여기서 중요한 사실 하나

co.kr은 등록안된다잉?. 읎써. 등록을 못해. 하고싶어도. 헐~! 대박.

구럼 어째?

신규등록은 안되지만, 다른데서 등록한 도메인을 여기에다 등록해서 사용할 수가 있습니다.

그게 호스트 등록이에요. 아래 화면에 보면 DNS관리 아래 호스트등록 이라고 보이시죠. 이놈을 클릭해서 가져다 사용하면 됩니다. 이건 낭중에 시간되는대로 한번 다룰껄? 아마도?

이것도 머 돈들죠. AWS에는 그냥 머 등록만 하면 일단 돈여. 겁먹지는 마셔. 그리 안비싸. 

 

암튼 등록이 가능한 도메인에 대한 정보 링크 걸어드릴게.

https://docs.aws.amazon.com/ko_kr/Route53/latest/DeveloperGuide/registrar-tld-list.html

 

Amazon Route 53에 등록할 수 있는 도메인 - Amazon Route 53

이 페이지에 작업이 필요하다는 점을 알려 주셔서 감사합니다. 실망시켜 드려 죄송합니다. 잠깐 시간을 내어 설명서를 향상시킬 수 있는 방법에 대해 말씀해 주십시오.

docs.aws.amazon.com

 

2. 도메인 하나 등록해보까?

[첫화면]

 

아휴... 이제 첫화면. 위 화면이 Route 53에 첫화면입니다.

그만 씨부리고, 이제 도메인 등록 해보자.

위에 1번 도메인 클릭하면 됩니다. 그럼 아래화면으로 나오고요.

위 이미지처럼

1. 사용하고 싶은 도메인 입력

참고로 아래 내용 보면 좋긴한데, 걍 넘어가도 되긴하고, 좀 특징적인거는 중간에 _(언더바)는 도메인이름에 넣을수 없구

-(대쉬) 는 가능 먼가 단어를 분리하고 싶다면 언더바 쓰면 안되고 중간 대쉬를 사용한다는 거 잊지마슈.

https://docs.aws.amazon.com/ko_kr/Route53/latest/DeveloperGuide/DomainNameFormat.html

 

DNS 도메인 이름 형식 - Amazon Route 53

DNS 도메인 이름 형식 도메인 이름(도메인, 호스팅 영역 및 레코드 이름 등)은 점으로 구분되는 일련의 레이블로 구성됩니다. 각 레이블의 길이는 최대 63바이트입니다. 도메인 이름의 총 길이는

docs.aws.amazon.com

 

2. [확인]

3. 지가 검색해서 목록나오고 가용성에 사용가능이면 [장바구니에추가] 

4. 우측 화면에 1년에 1회성 요금으로 3달라 내라내. 왜케 싸지? 확장자마다 돈이 달러.

젤 비싼거는 찾아보니 .movie 이고 이놈은 306달라 1년에 50만원은 하네. 와씨 돼지게 비싸.

암튼 난 제일 싼거 .click으로 하기로... ㅋ

아래가 확장자별 돈여유~!

https://d32ze2gidvkk54.cloudfront.net/Amazon_Route_53_Domain_Registration_Pricing_20140731.pdf

더보기

대충 이런내용여

암튼

 

아래 마지막 [계속] 누르면 정보 넣는 화면이 표시되고 넣으시면 됩니다.

[계속]

멘 하단에 aws 도메인 이름 등록 약관 체크 하고 [주문완료] 누르면.

이런 화면이 뜨고, 

등록한 이메일로 확인 메일이 오고 이걸 승인해줘야 머 진행이 된다나 어쩐대나.

메일을 기다려 봅죠.

위에 메일이 2개가 와 있네요.

대박! 3분정도 걸린거 같은디...

NHN.머시기는 돈냈다는 거고 : 4507원이 결제되었다네. 환율 드럽게 비싸. 암튼. 3달라가 4500원여... 

다음 메일은 Verify니까 이게 승인해달라는 거겄지.

이렇게 왔네요.

승인해봅니다.

Thank you for validating the email address ~~~ 

이렇게 화면에 나오네요.

구럼 다 된건가 한번 드가보까?

왼쪽 메뉴에서 [도메인]->대기중인요청 화면 이고,

 

아직 진행중이라네...

돈은 드럽게 빨리 가져가믄서. 승인은 언제 될라나.... 승인되면 그때 다시 돌아오께요.

지금시간은 2022-11-24 15:07입니더.

5분정도 후. 승인이 완료되었나바요.

왼쪽 메뉴에서 등록된 도메인 눌러보니. 떠~~~ㄱ 하니 등록이 완료되었네용.

3번 보면 만료날짜 보이쥬. 그게 만료날짜고, 아까 신청하면서 자동갱신 부분이 있을거인디. 거기 클릭했다믄 알아서 지들이 돈 빼갑니다. 안했으면 메일오고요. 1년 됐으니 돈내라고. ㅎ

 

아직 쪼금 더 남었어. 기운냐~~

왼쪽 메뉴에서

1. [호스팅영역] 메뉴 누르면 위화면이 뜨고,

2. 등록된 도메인 보이고

3. 지가 알아서 등록했다믄서 주석이 보이고, 여기서 2번으로 해당 호스팅 영역을 클릭하면

 

위 화면처럼 해당 호스팅영역에 대한 레코드들이 보입니다.

아휴 이것도 어려운데...? 아녀 그까이꺼 머 대충~~~ 

1번 유형 NS레코드가 제일 중요. 이놈이 우리가 등록한 easyaws.click이란 놈의 DNS 서버를 지정하는 놈이여.

일단 여기서 이 얘기는 좀 그렇고, 기본적으로 레코드가 2개가 생성이 되는구나 이렇게 생각해주면 되는 거임. 

2번은 레코드 유형인데 NS는 이름서버, MX는 메일 서버 CNAME이라고 있는데. 이건 낭중에 또 설명해줄거임.

3번은 NS의 값들이고, 

4번은 TTL이라고 갱신주기라고 말하는데 위에 레코드편집눌러서 1분으로 짧게 가져가도 됨. 갱신되면 먼가 더 빠를 거 같은? ㅎ

 

 

여기까지 총 소요시간은 약 15분 정도 되겄네요. 

아휴 글쓰기 참 심들다. 

 

3. 알겄어 구래서 얼마래능겨(얼마냐구)?

https://aws.amazon.com/ko/route53/pricing/

 

Amazon Route 53 요금 - Amazon Web Services

 

aws.amazon.com

걍 머 다 돈여... 그래도 나중에 이것 저것 물려서 사용하는 거에 비하면, 편하고 비싸지 않은편? 인거 같습니다.

지는 사용 적극 권장. (AWS삐끼 아님)

 

 

{이 정도는 알아야겄쥬!}

DNS(Domain Name Server). DNS는 도메인과 도메인에 해당하는 IP 정보를 가지고 있다가 도메인 주소에 대한 요청이 들어왔을 때 이에 해당하는 ip를 전달해주는 서버입니다. IP는 또 머냐구? 헐... 그건 낭중에 VPC할때 좀 야그 해보는 거로...

걍 브라우져에서 abc.com치면 어떤 서버에 연결되어있는지 그 서버의 주소를 알려주는 놈. 

DNS도 설명하자면 몇일 걸릴듯. 

 

4. 번외편 : DNS에서 일반적으로 사용하는 레코드들.

이건 추후에 기회가 되면 그때그때 설명이 있을거 같은디. 머 걍 맛만 봐요.

이게 호스팅영역에서 [레코드추가]를 눌렀을때 나오는 화면인데.

1번 보면 레코드 유형이 나옵니다. 젤 많이 사용하는건 A레코드와 CNAME 이거 두 개임.

 

 

자 그럼 여기까지 신규 도메인 등록이었고. 이제 슬슬 사이트 맹길러 가야지....

다음에는 S3를 이용해서 기본 사이트 컨텐츠를 만들어보고, 그놈을 어떻게 연결하는지 해볼거임.

 

 

새 도메인 하나 맹기는거 대충 버젼

1. Route 53에 가서

2. 도메인등록 버튼 찾어

3. 하고 싶으거 입력하고

4. 정보 넣은 다음

5. 돈내믄 뎌.

6. 대충 1년에 2마넌?(.com) 참고로 co.kr은 안적 안뎌~! 다른디(후이즈, 가비아, 아니네임즈 머 많어)서 등록해서 일루 가져와야혀.

 

아휴 이거 머 별거아녀~ 머 이까이꺼 머 대충 머. 

 

주의!

내용상에 잘못된 정보도 있을 수 있습니다. 내가 아는대로 적는거라.

그리고, 심한 사투리와 반말이 무자비하게 섞여있으니, 임산부 및 노약자는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알겄쥬?

728x90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