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실전AWS-기본편/S3

S3 버킷만들고 HTML 컨텐츠 올려 정적웹사이트 실제 오픈해보기(#2/2)

2022.11.26 - [실전AWS-기본편/S3] - S3 버킷만들고 HTML 컨텐츠 올려 정적웹사이트 실제 오픈해보기(#1/2)

 

S3 버킷만들고 HTML 컨텐츠 올려 정적웹사이트 실제 오픈해보기

0. 먼얘기랴~! 이 글에는 aws S3에 대한 아주 간단한 설명과 신규 버킷을 만들어 보고 초간단 웹게임 html소스를 올려서 정적웹사이트를 구동시켜 보고, 이전시간에 배운 Route 53과 연동시켜서 HTTP(HTT

easyaws.tistory.com

이전 시간에 정적웹사이트까지 만들어 봤습니다.

 

자. 근데 좀 먼가 이상하죠?

이렇게 사이트를 오픈할수는 없능거 아녀? 내가 만든 도메인주소를 쳤을때 나와야하능거 아녀?

 

맞습니다. 맞고요. 이제 그거 할겁니다.

내가 만든 도메인주소를 관리하는놈이 누구지? 

=======>>>>>>> Route 53 이죠. 넹넹.

글루 가보죠.

Route 53에서 easyaws.click을 클릭해서 [레코드생성]버튼을 클릭합니다.

이쯤해서 내가 원하는 거를 말해야겄네요.

내가 지금 원하는 거는

http://dev-easyaws.easyaws.click 이라고 쳤을때 아까 그 index.html화면이 나오게끔 하고싶은거죠.

그래서 레코드 이름에 dev-easyaws라고 넣었고, 2번에서 별칭을 선택했고, 트래픽라우팅대상에서 s3, 다음 서울, 다음 s3엔드포인트에서 지금까지 만든 s3주소가 나와야하는데.... 헐.... 왜 안나오지?

머지 이거? 강제로 입력해도 안되네?

대박! 이제 어쩐다.?????

그렇습니다. 위에서 버킷명을 만들때 메인 도메인의 이름까지 넣어서 만들었어야하는데 그걸 잘못했네요.

휴... 다시 해보자! 배운거 기억하는 의미로

 

이거 머 이까이꺼 머 대충 머. 금방햐. 버킷이름을 머로 해야한다고?

내가 서비스 하고 싶은 호스트네임을 포함한 풀 도메인 이름으로해야한다. 

이참에 좀 바꿔볼까? dev.easyaws.click 이라는 버킷명으로 해서 버킷을 한번 만들어보자. 

그리고, 접속주소를 http://dev.easyaws.click치면 아까 그 index.html파일 내용이 나오게 어뗘. 좋다 좋아.

 

헐 이거 만드는데 2분? ㅎ

 

이제 다시 Route53으로 간다잉~. 아참. 아까 만든 s3 버킷 dev-easyaws는 걍 둬요. 낭중에 써도 되니께요. 구찮으믄 걍 삭제해버려... 구래 지우자. 버킷지울라면 먼저 안에있는거 다 비워야한다는 경고 나오고 그거 다 비우고 지울수 있어유~

 

Route53으로 돌아와서 레코드 이름을 dev, 별칭으로 선택하고, s3웹사이트엔드포인트로하고, 서울로 하니...

대부아~~~~~~ㄱ !!! 나온다 나와. 캬... 이제 생성해보자.

어뗘유... 연결된거 1번이랑 2번 보이시쥬...

이제 마지막 확인만 하믄 된다 썅~.

 

뿌하하하하.

이제 완성했네요. http://dev.easyaws.click 이 세상에 나온 순간!!!!

어뗘유! 내가 된다 했잖어유~ 나만따라와유... 이거 머 대충 머 이까이꺼 머.

 

뒤에 /abdd나 /zz 이런거 쳐보면 error.html내용 404도 아마 잘 나올거유. 

 

음... 이렇게 만 하니까... 너무 심심하다 그지?

그럼 html로 된 간단한 게임 소스 하나 올려서 정말 잘 구동되는지 한번 해보까.

https://www.youtube.com/watch?v=lhNdUVh3qCc 

이 분 아는 사람 아님다! 좀전에 머하까 검색하다 첨 본 거에요. 증말로.

이 분 소스 하나 올려볼게요. 메모리게임(git clone https://github.com/kubowania/memory-game) 여기 소스 그대로 올립니다.

 

다운받은 파일 폴더를 잡아서 폴더 자체를 드레그해서 아까와 같은 방법으로 드랍해서 올려줍니다.

나오까? 될까?

캬... 정말 수고 많으셨습니다. 진짜루~~~~~~

이제 한걸음 땠네요.

http://dev.easyaws.click/memory-game/

 

Memory Game

 

dev.easyaws.click

대박이다 진짜~~~~

잘 따라와 바유... 갈길은 멀지만유... 재밌을거에요. 이거 이러다 머릿속에 있는거 다 꺼낼려면 1년은 블로그 써야겄는디? ㅎ

 

 

 

 

 

3. S3는 비싼가?

https://aws.amazon.com/ko/s3/pricing/

 

Amazon S3 Simple Storage Service 요금 - Amazon Web Services

S3 버킷 및 객체를 대상으로 수행한 요청에 대해 요금을 지불합니다. S3 요청 요금은 요청 유형을 기준으로 하며 아래 표와 같이 요청 수에 따라 요금이 부과됩니다. Amazon S3 콘솔을 사용하여 스토

aws.amazon.com

s3는 걍 싸다 생각하심 됩니다. 그렇게 비싸진 않아요. 그래도 외부에 서비스를 하게되면요. 

s3저장 비용보다는 외부 서비스 비용이 많이 나갈수 있으니까 내려놓는게 좋긴 하겠죠? ㅎ

 

 

자 그럼 여기까지 s3 정적웹사이트 서비스를 이용해서 http 운영도메인으로 서비스 오픈 하는 방법이었고요. 

다음에는 https로 서비스 하기위해 CloudFront서비스 좀 맛 좀 보고 실제로 https로 서비스 오픈해볼거에요.

음... 봐서 aws-cli를 이용해서 로컬소스와 s3버킷폴더와 연동하는 방법도 다뤄볼게요.

 

여기서 재밌는 사실 하나 당신이 잊고 있는 사실....

아직까지 EC2라던지 하는 Computing은 없었어요.

한마디로 서버시스템을 사용한게 없다는 거지요. Sevevless 이제 한 발 내딛으셨습니다. 

 

S3에 버킷만들고 HTML 컨텐츠 올려서 정적웹사이트 오픈해보기 대~~충 이까이꺼 정리

1. s3에 버킷만들고

2. 정적웹사이트로 설정하고

3. 버킷 권한 잡아주고

4. s3 정적웹사이트 테스트 해보고

5. Route 53과 레코드명 맞춰서 실제 오픈 

 

아휴 이거 머 별거아녀~ 머 이까이꺼 머 대충 머. 

 

주의!

내용상에 잘못된 정보도 있을 수 있습니다. 내가 아는대로 적는거라.

그리고, 심한 사투리와 반말이 무자비하게 섞여있으니, 임산부 및 노약자는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알겄쥬?

728x90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