웹개발시에 localhost로 개발중 구글서비스(geolocation, geocoding, 주소검색서비스) 또는 facebook api 등 외부 api 서비스를 연동하거나 oauth token 발급용이라던지, https url이 필요할 때가 많다.
이때 letsencrypt 나 직접 인증서 파일을 만들어서 개발하는 방법도 있겠으나,
ngrok를 활용해서 https를 간단하게 만들어서 개발하는 방법을 소개해본다.
1. ngrok 가입
ngrok - Online in One Line
Zero Trust Add SSO, Mutual TLS, IP Policy, and webhook signature verification.
ngrok.com
[ ngrok 첫화면 ]
위 예시에서 보면 ngrok http 80이라고 보인다. command상에서 위처럼 치면 바로 뭔가 일이 일어나겠다.
아무튼 가입하고, 아래 화면으로 이동한다.
2. ngrok 설치
- 회원가입 후 위 화면으로 이동하면 왼쪽 상단에 내 email주소가 보인다.
- Setup & Installation 으로 이동한다.
- Unzip to install 부분이 있지만, 우리는 node가 설치되어있다는 가정으로 해서 npm으로 설치한다. 물론 -g옵션으로 설치해야겠죠.
npm install -g ngrok
- 웹서비스 하나 올릴 거니까 html파일 하나 만들고
- ngrok를 설치하고
- 잘 설치되었는지 확인해본다. ngrok -v
3. localhost 구동
vscode 하단 status바에 [Go Live] 기억이 나실런지...
vscode extension liveserver 설치하면 생기는 거죠. 지난 시간 참고.
2023.06.11 - [WEB] - 초간단 HTML 웹 서버 구축 - Live Server vscode
초간단 HTML 웹 서버 구축 - Live Server vscode
로컬 호스트로 간단한 정적웹사이트나 테스트 개발 사이트가 필요할때, vs extension중 live server 를 소개하고 간단한 기본사용법을 알아본다. 1. Live Server 설치 vscode로 개발할 때 간단하게 로컬 웹서
easyaws.tistory.com
구동해본다.
위 처럼 Port 5500으로 웹서비스가 올라왔음을 확인할수 있다.
이제 ngrok로 https서비스를 구동해보자.
4. ngrok로 https 서비스 만들기
터미널에서 아래와 같이 입력하면
ngrok http 5500
화면에
이렇게 표시된다.
Forwarding부분에 https 주소가 보인다. 브라우져에서 접속해본다.
- https주소는 맞는데
- Sign Up하란다.
이부분을 놓쳤다.
터미널에 넣어준다.
머 별 말은 없지만 됐나보다.
기존 터미널을 죽이고(?)... 다시 ngrok http 5500을 해본다.
새로운 주소가 나왔다.
다시 접속해본다.

이건 또다른 에러인가.... 슬슬 짜증이 밀려온다.
그러나
- visit site를 눌러보면. 잘 나온다.
- 이 페이지는 돈 안내서 나오는 거라고 하는 것 같다. header에 ngrok-skip-browser-warning 을 넣어서 보내란다.
=> 숙제다. 한번 해보시길.. 어찌됐든.
자물쇠가 달려서 잘 나온다.
이제 개발하는데 문제 없다.
도움이 됐기 기원하며....
'WEB' 카테고리의 다른 글
[css]Flexbox 마스터하기: 2.Flex 컨테이너 설정 (0) | 2023.06.25 |
---|---|
[css]Flexbox 마스터하기: 1.소개 (0) | 2023.06.24 |
[html5] input type date 와 input type time (1) | 2023.06.17 |
초간단 HTML 웹 서버 구축 - Live Server vscode (0) | 2023.06.11 |
HTTP와 HTTPS의 개념 (0) | 2023.06.11 |